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축산업2

은퇴 후 귀농 및 농민(농업사업자) 수익성은? - 축산편 4 축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수익성을 1~3편에 적었다. 대표적인 가축은 소, 닭, 돼지에 대한 이해를 하고 나면 귀농을 해서 축산업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다만, 축산업도 하나의 자영업이니만큼 단순히 우직하게 일한다고 해결되지는 않는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산업 사이클이 존재하고 축산업 내에서도 각 가축별로 흥망성쇠가 있다. 전쟁과 인플레이션으로 사료값 상승 한국에서 가축사료는 모두 곡물사료를 사용한다.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사료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전세계 곡물의 주요 산지인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시작하면서 전세계 곡물 가격은 올라갔고, 사료값도 마찬가지로 폭등했다. 사료값 폭등으로 전쟁 초기에 축산 농가들이 엄청나게 도산했다. 그리고 도산한 이후에 닭고기와 돼지고기의 공급.. 2024. 3. 18.
은퇴 후 귀농 및 농민(농업사업자) 수익성은? - 축산편 2 저번에는 소 축산 / 소 농사에 대해서 대충 적었는데, 정리 목적으로 쓰는 두 번째 글은 양계장이다. 양계장은 최근 수년간 수익이 좋고 앞으로도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이다. 다만, 초기 투자 비용이 소보다 훨씬 높을 수도 있다는 것이 문제인데, 성과가 바로 나온다는 측면에서 훨씬 장점이 있다. 양계장은 더 이상 허가가 나지 않는다 양계장은 혐오시설이다. 실제로 진짜 가보면 각종 냄새, 소리, 털날림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시설은 몰라도 신규 시설 허가는 더 이상 나지 않는다. 다른 축산업 중에서 그러지 않는게 있겠냐만은, 양계장은 유독 제한이 더 심하다. 그래서 기존 양계장에 웃돈을 얹어서 사야한다. 보통 자동화된 양계장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시세가 달라지지만, 15~25.. 2024.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