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15 휘발유 바이오에탄올 의무 혼합 한국에 도입될까 미국은 휘발유에 바이오에탄올을 최소 10% 섞는게 의무이다. 미국에서 렌트카를 몰아본 사람이 있겠지만 휘발유 종류에 E10, E15, E85가 존재한다. 여기서 E는 에탄올이고, 뒤의 숫자는 %이다. 즉, E10은 바이오에탄올이 10%, E15는 바이오에탄올이 15% 혼합됐다는 뜻이다. 휘발유 가격 안정화에 도움 되는 바이오 에탄올 미국 내에서 바이오에탄올은 휘발유보다 저렴하다. 코로나와 인플레이션으로 곡식가격이 올랐지만 유가도 같이 올라서 아직도 바이오에탄올이 30~40% 저렴하다. 그래서 E15으로만 해도 50리터 기준 5~10% 유류 주유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미국 소비자물가에 바이오 에탄올의 유류비 절감을 통해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다만, 이게 가능한 것은 미국이 최대 규모의 옥수수, 사탕수.. 2023. 6. 17. 니오와 비야디의 배터리 스왑 전기차 상세와 미래 전망 전기차 충전 방식은 급속과 완속만 생각할 수 있지만, 배터리 스왑이라는 기술이 있다. 전기차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대다수 아는 기술이지만, 장단점을 상세히 알고 미래 전망까지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어서 포스팅 한다. 배터리 스왑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배터리 스왑의 원리는 간단하다. 전기차를 구매할 때 배터리 가격만큼 할인받고 산 후, 월 구독 형식으로 일정비용을 낸다. 구독자는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에서 매번 배터리를 교환한다. 교체 시간이 금방 걸려서 기존 전기차 충전에 비해서 훨씬 빠르다. 중국의 전기차 업체인 니오와 비야디가 이 기술의 대표주자이다. 비싼 전기차 배터리를 차량 가격에서 할인받고,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에서 매번 배터리를 검사해줘서 안정적으로 관리받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23. 6. 17. 하루인베스트 델리오 스테이킹으로 보는 코인 투자 안전성 스테이킹을 하는 하루인베트스트와 델리오라는 두 업체가 출금 중단을 선언했다. 수십 조에 달하는 국내 시장에서 수백 억원 이상의 가치를 가진 기업이 출금 중단을 선언한 것은 꽤 큰 일이라 이슈가 모이고 있다. 하루인베스트의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 CeFi, DeFi 등의 설명은 어렵다.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채굴되는 코인을 나눠준다고 하는데 전혀 중요하지 않다. 어차피 코인의 원리나 백서 등 제대로 보는 사람 없을 것이다. 스테이킹, CeFi(시파이), DeFi(디파이)는 그냥 이자를 주는 것과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제도권 금융을 피하려고 코인을 만들었는데, 제도권 금융에서 하는 행동을 똑같이 하는 것이다. 하루인베스트먼트와 델리오는 스테이킹 업체이며, 대형 코인거래소 대신에 해당 업체에 입금.. 2023. 6. 15. 가정용 태양광 설치 업체 선정, 고르는 법 한국에 수많은 태양광 설치 업체가 난립하고 있다. 태양광 판넬을 직접 생산하고 설치하는 업체는 애초에 대기업이라(ex. 한화) A/S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단순 설치 업체는 태양광 보조사업으로 인해서 엄청나게 존재한다. 저렴하고 효율좋은 중국산 태양광을 수입하는데 정부에서 수입에 편의를 봐줘서 의지만 있으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사업이다. 지난 수 년간 정부에서 중국 태양광에 워낙 친화적이라서 사업 분위기가 개판이 되었다. 설치 업체가 보조금을 노리고 대규모로 설치한 뒤, 폐업해버리면 A/S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이다. 가정에서 태양광 설치 업체 고르는 법 현재 중국 태양광 판넬은 카탈로그 상으로는 훌륭하다. 1년에 효율이 1%미만 하락하며, 가성비도 전세계에서 최고수준이다.하지만 태양광은 특성상 기.. 2023. 6. 5.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과 구글 검색 알고리즘 한국은 유일하게 구글이 1등을 못 먹은 시장이다. 구글이 금지돼서 VPN으로 접속하는 중국에서도 구글이 1위인데, 한국은 네이버가 꽉 잡고 있다. 근데 이걸 자랑스러워 해야 하는 일인가? 아니면 한국인이 세계표준에 완전 어긋난 것일까? 딱히 한국인이 세계표준에서 어긋난 것 같지는 않다. 문서검색은 네이버에서 구글로 대세가 넘어간지 오래됐다. 학교나 직장에서 필요한 자료를 구글에서 찾는게 기본적인 상식이 된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왜 발생할까? 도대체 구글이 네이버보다 무슨 점이 뛰어난 것일까? C-rank기반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 View탭은 인플루언서 위주다. 네이버는 검색 엔진과 UI/UX를 개편했는데, C-랭크란 것을 도입했다. 뭐 D.I.A니 문서의 집중도, 연쇄 등등을 본다는데 제일 중요한 것 .. 2023. 5. 20. 전기요금과 전기차 주행세금/충전요금 전망 지금 전기차 충전 요금이 진짜 저렴하다. 급속 1khw당 350원이 되지 않으니 만땅기준 2만원밖에 안되니 거저아닐까싶다. 그런데 언제까지 이렇게 저렴하게 전기차를 탈 수 있을까? 사실 지금이야 전기차가 경제적인 교통 수준이지, 나중에 정상화되면 제일 비싼 차량이 될 수도 있다. 휘발유와 경유가 비싼게 아니다. 기름값의 절반이 세금이란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실제로 그렇다. 지금은 정부가 유류세를 인하해서 그렇지, 원래 휘발유는 746원/ℓ, 경유는 529원/ℓ가 부과되고 있었다. 물론 세금에 부가가치세도 매겨져서 실제로는 각각 820원, 580원이었다. 말도 안되는 가격이다. 그러면 현재의 전기차 충전요금에는 세금이 붙어있을까? 전혀 붙어있지 않다. 제일 기본적인 부가가치세만 포함된 수준이다. 정부는.. 2023. 5. 19. 당근마켓 수익구조, 적자, 향후 전망 당근마켓이 2023년에도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손실이 560억이니까, 오픈년도(2015년)의 1.5억 적자, 작년의 360억 적자를 고려해보면 적자폭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지출은 인건비와 서버운영비일 것인데 돈은 벌고 있을까? 당근마켓 매출도 상승중이다. 2022년 259억 2023년 499억으로 지속적으로 상승중이고 90%이상이 광고매출이다. 검색 시 중간중간에 있는 광고와 동네정보에 나오는 광고를 통해 수익을 번다. 당근마켓 조직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근마켓에 광고를 띄우라고 적정규모 이상 기업, 자영업자를 찾아다니는 영업조직이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아마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영업팀도 돌리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노력중일 것이다. 이제 개인 중고매물을 상단에 올려주는 댓가로 돈을.. 2023. 5.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