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9

블로그를 생애 처음 시작해봤는데 말 하고 싶어서 답답했는데 단체카톡방에는 말 못하고 친구들하고 술자리에서는 취하기 전에는 너무 무겁고 취하고 나서는 이슈에 대한 의견이 잘 맞으면 좋은데 취해서 했던말 계속한다. 이슈에 대한 의견이 안 맞으면 그때는 나이 먹은 사람들끼리 언성 높여 싸우는거고, 얼마나 추한가 이것저것 글 써봤는데, 방문자가 몇명 있었다. 말은 하고 싶은데 답답한 생각이나 시덥잖은 생각을 정리할 겸 쓰는데 누군가 보지 않아도 기록용으로 의미가 있다 생각했는데 익명의 한 두명이라도 봐준다니 왠지 기분이 좋고 좀 더 봐줬으면 좋겠고... 사람 마음이 간사하다. 그래도 기분이 나쁘지는 않다. 내 블로그를 앞으로 몇명이나 볼 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하루에 몇 명이라도 꾸준히 찾아와줬으면 좋겠다. 그렇다면 내 생각이 마음에 들었든,.. 2023. 4. 16.
한국 해외 여행자 증가가 금융위기를 초래한다? 심각하긴하다 IMF에도 이런 얘기는 나왔다 IMF원인 중 하나가 국민들의 과도한 사치(명품, 해외여행) 때문이라는 만화짤이 인터넷을 돌아다니고 있다. 그리고 이건 기업과 정치인들이 IMF 원인을 국민들한테 떠넘기는 것이라고 조롱받는다. 맞는말이다. 1997년 IMF 금융위기는 기업과 재벌들이 말도 안되는 부채로 뻘짓들을 한 까닭이고, 상당수가 구조조정을 거쳤다. 방만했던거는 사실이니까. 국민들은 광복 이후 고생했던 것을 몇년 누리고 있다가(노동 환경 일부 개선, 해외여행 자유화 등) 쓸려간것이다. 그러면 지금도 똑같이 한국 해외 여행자는 아무런 잘못 없고 한국 해외 여행 지출이 심각하다는게 떠넘기기일까? 비율은 IMF때와 지금이나 비슷하다 과거 자료가 통계청과 기사들에 남아있어서 구글링 해보면, 1997년 GDP는 .. 2023. 4. 14.
전기차 충전 수익구조, 전기차 충전 운영 하면 얼마벌까 전기차 충전 왜 이렇게 많아? 이 글을 검색해서 찾은 사람은 넷 중 하나일 것이다. 1. 전기차 충전업체에 취직하려는 사람 2. 전기차 충전업체 리서치 하는 대학생, 직장인 3. 주식투자자 4. 내 땅, 내 가게에 전기차 충전기 박아보려는 사람 전기차를 구매해본 사람은 전기차 충전 브랜드가 한 30개쯤 된다는 것을 알거다. 근데 왜 이렇게 많을까? 답은 돈이 되기때문이다. 당연히 돈이 되는데, 얼마만큼 되는지 궁금하겠지? 그래서 깔끔하게 정리하려고 글을 썼다. 전기차 충전 어떻게 얼마나 버는데? 전기차는 전세계에서 환경 때문에(전력발전이 친환경인지는 일단 차치하자) 밀어주는 분야다. 국내에서도 뒤쳐질 수 없기에 기본적인 인프라를 깔고 있는데, 이 인프라를 유도하기 위해서 정부는 크게 두 가지 정책을 운영.. 2023. 4. 13.
네이버 맛집 별점은 의미없다 네이버 별점은 사라진 제도다. 한국인은 약속이 있으면 네이버에 XXX맛집이라고 검색한다. 대다수의 음식점이 4.0이 넘는다. 오히려 4.0이 안 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네이버도 예전에 인지를 했나보다. 그래서 별점 제도를 2021년 10월에 종결시켰다. 현재 네이버 검색, 네이버 지도에는 뜨는것은 종결된 시점의 별점이다. 별점/평점이 사라진 이유는 간단하다. 리뷰 테러로 인해서 피해를 보는 가게가 너무 많았다는 이유다. 그러면 도대체 왜 4.0이 넘는 높은 별점은 계속 유지시키는가? 어디든 맛집처럼 보이게 말이다. 네이버는 사람들을 붙잡아둬야 한다. 포탈 사이트는 양질의 검색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그래야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머무르면서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이 트래픽이 서버에 부담이 되기도 하.. 2023. 4. 11.
69시간 제도의 뒤에 숨겨진 진실 주 69시간 근무제도에 대한 이슈가 지나가서 써보고자 한다. 정부에서 말이 나온 직후에 69시간이 말이 되냐며 여야, 좌우, 온라인 오프라인 가리지 않고 조롱의 대상이 됐다. 근데, 여기에 숨겨진 진실이 있다. 주 69시간 근무제는 어디에서 제일 원했을까? 1. 대기업들 2. 중소기업들 3. 노동계 정답은 3번이다. 노동계의 상당수 지분을 먹고 있는 육체노동자(고졸, 초대졸의 공장노동인력)은 몰라도 민변이나 노동법, 경제학쪽 좌파 학자들은 우호적이었다. 이유는 69시간 제도의 조건에 있다. 정부는 현재 시행 중인 52시간 근무제가 상당히 유명무실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노동시간 측정 및 위반시 강력한 처벌을 기조로 내세웠다. 각종 이익단체나 학계에서 의견을 청취하고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초안에.. 2023.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