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사회11 지리산 반달곰 등산로 출몰, 도대체 복원을 왜 하는 것인가 지리산 등산로에 반달곰이 가끔 출몰하고 있다. 지금은 100마리도 안되는 반달곰이 천연기념물이고 멸종위기종을 복원한다지만 앞으로 벌어질 일이 너무 뻔하게 보인다. 일본도 반달곰의 서식지다 일본 반달곰은 북해도에 주로 서식하나, 혼슈 본토에도 종종 나타난다. 산에서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수준에서 끝나면 괜찮은데 주민들을 공격하는 사건이 종종 일어난다. 구글에만 쳐봐도 1년에 1명꼴로 사망한다.(매년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여러명이 곰에게 사망하는 일을 감안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자국민을 반달곰 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한다. 반달곰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민가쪽에 내려오지 못하게 하거나, 사람을 공격하지 못하게 교육하거나, 즉시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식이다. 일제시대때 해수구제로 한반도.. 2023. 6. 5. 디즈니가 정치적 올바름을 선택하고, 한국기업이 정치적 올바름 안 하는 이유 디즈니 인어공주가 완전히 흥행에 실패했다. 전세계 여론이 좋지 않다. 대부분의 이유는 디즈니가 PC주의를 너무 밀고있다는 것이다. 디즈니가 PC에 집착하는 이유 디즈니는 초기에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PC를 도입했다. 백인중심에서 조금씩 사회가 변화하는데 이를 맞춰가야 돈을 벌 것 아닌가. 다양한 고객층을 만족시키기 위해 흑인, 동양인, 여성, 장애인, 동물을 꽉꽉 넣었고 초기의 이러한 시도는 성공으로 다가왔다. 겨울왕국과 알라딘만 하더라도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그 후의 뮬란도 코로나를 감안하면 괜찮은 성과를 거뒀다. 기존의 백인, 서양문화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디즈니 포트폴리오를 다채롭게 만들고, 기존 팬들에게 새로운 자극을 준다. 결국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도입했는데 돈까.. 2023. 5. 31. 한국 농업의 장단점 / 노동집약이 나쁜것만은 아니다 한국 과일은 정말 맛있다. 동네슈퍼에서 사온 사과가 정말 맛 없었다. 1봉지에 6,200원이었는데, 6개가들었으니 개당 천 원인 사과가 비싸고 맛이 없으니 답답한일이다. 미국에서 잠시 거주할 때 과일이 정말 맛이 없었다. 사과, 배, 멜론, 딸기 등등 한국 과일에는 비교도 안되게 질이 낮았다. 동료들도 비슷하게 느꼈고, 미국에서 만난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했으니 사람 입맛은 국가를 떠나 똑같은 것 같다. 오늘은 실패했지만, 대형 마트에서 과일을 사면 실패하지 않는다. 식감, 당도 모두 만족스럽다. 가격만 불만족스러울뿐... 한국 과일이 왜 맛있을까? 한국 농업은 완전히 노동집약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집약적이란 말은 비효율적이란 말로 읽힌다. 우리도 건물주가 되고 싶어하지, 노동자가 되고 싶어하지는 .. 2023. 4. 17. 네이버 맛집 별점은 의미없다 네이버 별점은 사라진 제도다. 한국인은 약속이 있으면 네이버에 XXX맛집이라고 검색한다. 대다수의 음식점이 4.0이 넘는다. 오히려 4.0이 안 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네이버도 예전에 인지를 했나보다. 그래서 별점 제도를 2021년 10월에 종결시켰다. 현재 네이버 검색, 네이버 지도에는 뜨는것은 종결된 시점의 별점이다. 별점/평점이 사라진 이유는 간단하다. 리뷰 테러로 인해서 피해를 보는 가게가 너무 많았다는 이유다. 그러면 도대체 왜 4.0이 넘는 높은 별점은 계속 유지시키는가? 어디든 맛집처럼 보이게 말이다. 네이버는 사람들을 붙잡아둬야 한다. 포탈 사이트는 양질의 검색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그래야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머무르면서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이 트래픽이 서버에 부담이 되기도 하.. 2023. 4.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