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37 네이버 맛집 별점은 의미없다 네이버 별점은 사라진 제도다. 한국인은 약속이 있으면 네이버에 XXX맛집이라고 검색한다. 대다수의 음식점이 4.0이 넘는다. 오히려 4.0이 안 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네이버도 예전에 인지를 했나보다. 그래서 별점 제도를 2021년 10월에 종결시켰다. 현재 네이버 검색, 네이버 지도에는 뜨는것은 종결된 시점의 별점이다. 별점/평점이 사라진 이유는 간단하다. 리뷰 테러로 인해서 피해를 보는 가게가 너무 많았다는 이유다. 그러면 도대체 왜 4.0이 넘는 높은 별점은 계속 유지시키는가? 어디든 맛집처럼 보이게 말이다. 네이버는 사람들을 붙잡아둬야 한다. 포탈 사이트는 양질의 검색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그래야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머무르면서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이 트래픽이 서버에 부담이 되기도 하.. 2023. 4. 11. 69시간 제도의 뒤에 숨겨진 진실 주 69시간 근무제도에 대한 이슈가 지나가서 써보고자 한다. 정부에서 말이 나온 직후에 69시간이 말이 되냐며 여야, 좌우, 온라인 오프라인 가리지 않고 조롱의 대상이 됐다. 근데, 여기에 숨겨진 진실이 있다. 주 69시간 근무제는 어디에서 제일 원했을까? 1. 대기업들 2. 중소기업들 3. 노동계 정답은 3번이다. 노동계의 상당수 지분을 먹고 있는 육체노동자(고졸, 초대졸의 공장노동인력)은 몰라도 민변이나 노동법, 경제학쪽 좌파 학자들은 우호적이었다. 이유는 69시간 제도의 조건에 있다. 정부는 현재 시행 중인 52시간 근무제가 상당히 유명무실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노동시간 측정 및 위반시 강력한 처벌을 기조로 내세웠다. 각종 이익단체나 학계에서 의견을 청취하고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초안에.. 2023. 4. 6.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