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사37

전기요금과 전기차 주행세금/충전요금 전망 지금 전기차 충전 요금이 진짜 저렴하다. 급속 1khw당 350원이 되지 않으니 만땅기준 2만원밖에 안되니 거저아닐까싶다. 그런데 언제까지 이렇게 저렴하게 전기차를 탈 수 있을까? 사실 지금이야 전기차가 경제적인 교통 수준이지, 나중에 정상화되면 제일 비싼 차량이 될 수도 있다. 휘발유와 경유가 비싼게 아니다. 기름값의 절반이 세금이란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실제로 그렇다. 지금은 정부가 유류세를 인하해서 그렇지, 원래 휘발유는 746원/ℓ, 경유는 529원/ℓ가 부과되고 있었다. 물론 세금에 부가가치세도 매겨져서 실제로는 각각 820원, 580원이었다. 말도 안되는 가격이다. 그러면 현재의 전기차 충전요금에는 세금이 붙어있을까? 전혀 붙어있지 않다. 제일 기본적인 부가가치세만 포함된 수준이다. 정부는.. 2023. 5. 19.
당근마켓 수익구조, 적자, 향후 전망 당근마켓이 2023년에도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손실이 560억이니까, 오픈년도(2015년)의 1.5억 적자, 작년의 360억 적자를 고려해보면 적자폭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지출은 인건비와 서버운영비일 것인데 돈은 벌고 있을까? 당근마켓 매출도 상승중이다. 2022년 259억 2023년 499억으로 지속적으로 상승중이고 90%이상이 광고매출이다. 검색 시 중간중간에 있는 광고와 동네정보에 나오는 광고를 통해 수익을 번다. 당근마켓 조직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근마켓에 광고를 띄우라고 적정규모 이상 기업, 자영업자를 찾아다니는 영업조직이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아마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영업팀도 돌리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노력중일 것이다. 이제 개인 중고매물을 상단에 올려주는 댓가로 돈을.. 2023. 5. 15.
건설사 부실 시공, 부실 공사의 종류와 방법 부실 시공은 하면 당연히 안되지만 현실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너무 민감한 부분이라 조심스럽게 말하지만, 어떻게 부실 시공이 이뤄지는지 적을 수 있을 것 같다. 건설에 관심을 가지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 일반인들은 전혀 모를 것 같아 이렇게 적어본다. 1. 철근 빼먹기 제일 기초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저층 오피스는 철근 콘크리트 방식으로 짓고 고층건물은 철강으로 짓는다. 철근 콘크리트가 건설비는 저렴하지만, 부피가 크고 철강은 비싸지만 넓은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는 부피가 큰 벽으로 생활 공간을 나누는 거주형 빌딩에 쓰는거고, 철강은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고층 사무실에 사용한다. 콘크리트는 위에서 누르는 압력에 강하나, 태풍, 지진, 무게쏠림등에.. 2023. 5. 13.
한은이 금리 안 올리는 이유 미국과의 기준금리차이가 커지고있다 벌써 미국과의 기준금리차이가 1.75차이가 나고있다. 미국이 올리는 중에도 한국은 금리를 안 올리고 있기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금리를 올리지않는 이창용 총재를 비난한다. 미국과 금리역전이 발생해서 환율에서 손해를 보고 부동산이 하락하지 않는다는게 그 이유다. 하지만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안 올리는게 아니라 못 올리는 것이다. 한국 경제의 폭탄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번째는 부동산이다. 부동산PF, 빌라/오피스텔/아파트 역전세 깡통전세가 조금씩 터져나오는것을 정부가 막고있다. 둔촌분양과 전세사기 등 정부는 필요에 따라 제도를 바꿔가며 부동산은 폭락하지 않는다는 시그널을 주고 있다. 부동산이 폭락하면 이걸 담보로 빌려준 은행들이 연쇄도산하니 폭락은 있어서는 .. 2023. 5. 11.
산업은행 부산이전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한다고 고시가 떴다.윤석열 대통령 당선부터 산업은행이 진짜 이전한다고 계속해서 말이 나왔는데, 결국 고시가 떴다. 직원들이 아무리 항의해도 산업은행은 부산으로 갈 것이다. 능력있는 사람들이 이직한다고 하는데, 실제 이탈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산업은행 이전 루머는 이미 2010년대 중반부터 있었던 얘기고, 대선 때도 여야에서 지방 표 끌어들이는 방책으로 사용했던 터라 대통령이 누가됐든 갔을터였다. 정말 능력있는 사람들은 사실 이미 예상하고 이직했을 것이고, 남은 사람들은 항의는 하지만 끌려갈 사람들뿐이다. 한국거래소나 예결원처럼 서울에 상당부분을 남겨놓는 눈속임도 통하지 않을것이다. 산업은행 잔여자들이 무능한 사람들이란것은 아니다. 우리 때도 서연고에서 상위권만 갔다. 다만, 안.. 2023. 5. 11.
한국에서 생활경제와 민법을 안 가르치는 이유 사기 사건이 터질 때 마다 교육과정을 고치자는 말이 나온다. 이번 전세 사기 사건부터 각종 보험, 금융 상품 등 사기 사건이 나올 때마다 고등학교 필수교육 과정에 민법이나 생활 경제 등을 넣어서 이것을 대비하게 하자고 한다. 어렸을 때 부터 듣다보면 사기 사건이 발생할 때 피하거나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다. 틀린말은 아니다. 그런데 효율성이 너무 없는 말이라서 문제다. 난 개인적으로 고등학교 때 제대로 공부하는 친구들을 많이 못 봤다. 공부한 친구들은 다 괜찮은 대학교에 입학해서 양질의 고등교육을 받고 사기 사건을 충분히 파악할만한 지적수준을 갖췄다. 이번 전세 사기 피해자 중에 전문직 종사자도 존재하던데, 이런 분들이 당한 것은 사실 욕심이 극대화 돼서 피해자가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충분히 피.. 2023. 5. 6.
울릉도 공항 설립과 놓치고 있는 것 울릉도에 자본이 몰리고 있다. 코로나 기간 동안 해외여행이 어려웠고 반대급부로 제주도와 울릉도가 엄청난 수혜를 입었다. 제주도는 원래 유명했지만 울릉도는 이정도로 인기있는 여행지는 아니었는데, 최근 몇 년 사이 엄청나게 인기있는 여행지가 됐다. 울릉도 배편은 평일에도 예매하기 쉽지 않고, 울릉도 물가와 지(地)가는 고공행진이다. 울릉도에 공항까지 설립해서 2025년 11월말을 완공 예정으로 하고 있다. 공항이 건설되고, 울릉도에 부족한 양질의 숙박시설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면 울릉도의 관광객 수는 더 늘것이고 인식도 개선 될 것이다. 현재 울릉도 관광객이 약 50만명이다. 태풍철과 겨울을 제외하고 2~6,7~11월의 8달간 매일 2천명 정도 관광객이 유입된다. 배편 증설은 항구규모, 운항스케쥴상 여러모로 .. 2023.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