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37 국제결혼을 한국에서 장려해야 하는 이유 국제결혼에 성공한 친구 얘기를 올렸었다. 2023.06.14 - [4050라이프] - 국제결혼 성공사례 및 장점 - 경제적 조건 갖출 경우 국제결혼은 개인과 한국에 어마어마한 이익을 가져온다고 생각한다. 국제결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남 시선에 결단을 못 내릴까봐 글을 올린다. 맞는 말을 들으면 용기가 생기는 법이다. 국제결혼은 젊은 생산 인구의 증가다 보통 국제결혼으로 유입되는 인구는 20~30대 초반의 인구다. 어디에 투입되어도 최소한의 생산성이 보장된 나이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한 사람을 성인으로 키워내려면 수 억원의 양육비가 든다고 한다. 외국에서 젊은 사람이 와서 기본적인 육체노동직군이나 서비스직군에 종사한다면 한국은 젊은 생산 인구를 아무런 비용 없이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은 외.. 2023. 6. 16. 하루인베스트 델리오 스테이킹으로 보는 코인 투자 안전성 스테이킹을 하는 하루인베트스트와 델리오라는 두 업체가 출금 중단을 선언했다. 수십 조에 달하는 국내 시장에서 수백 억원 이상의 가치를 가진 기업이 출금 중단을 선언한 것은 꽤 큰 일이라 이슈가 모이고 있다. 하루인베스트의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 CeFi, DeFi 등의 설명은 어렵다.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채굴되는 코인을 나눠준다고 하는데 전혀 중요하지 않다. 어차피 코인의 원리나 백서 등 제대로 보는 사람 없을 것이다. 스테이킹, CeFi(시파이), DeFi(디파이)는 그냥 이자를 주는 것과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제도권 금융을 피하려고 코인을 만들었는데, 제도권 금융에서 하는 행동을 똑같이 하는 것이다. 하루인베스트먼트와 델리오는 스테이킹 업체이며, 대형 코인거래소 대신에 해당 업체에 입금.. 2023. 6. 15. 가정용 태양광 설치 업체 선정, 고르는 법 한국에 수많은 태양광 설치 업체가 난립하고 있다. 태양광 판넬을 직접 생산하고 설치하는 업체는 애초에 대기업이라(ex. 한화) A/S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단순 설치 업체는 태양광 보조사업으로 인해서 엄청나게 존재한다. 저렴하고 효율좋은 중국산 태양광을 수입하는데 정부에서 수입에 편의를 봐줘서 의지만 있으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사업이다. 지난 수 년간 정부에서 중국 태양광에 워낙 친화적이라서 사업 분위기가 개판이 되었다. 설치 업체가 보조금을 노리고 대규모로 설치한 뒤, 폐업해버리면 A/S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이다. 가정에서 태양광 설치 업체 고르는 법 현재 중국 태양광 판넬은 카탈로그 상으로는 훌륭하다. 1년에 효율이 1%미만 하락하며, 가성비도 전세계에서 최고수준이다.하지만 태양광은 특성상 기.. 2023. 6. 5. 지리산 반달곰 등산로 출몰, 도대체 복원을 왜 하는 것인가 지리산 등산로에 반달곰이 가끔 출몰하고 있다. 지금은 100마리도 안되는 반달곰이 천연기념물이고 멸종위기종을 복원한다지만 앞으로 벌어질 일이 너무 뻔하게 보인다. 일본도 반달곰의 서식지다 일본 반달곰은 북해도에 주로 서식하나, 혼슈 본토에도 종종 나타난다. 산에서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수준에서 끝나면 괜찮은데 주민들을 공격하는 사건이 종종 일어난다. 구글에만 쳐봐도 1년에 1명꼴로 사망한다.(매년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여러명이 곰에게 사망하는 일을 감안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자국민을 반달곰 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한다. 반달곰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민가쪽에 내려오지 못하게 하거나, 사람을 공격하지 못하게 교육하거나, 즉시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식이다. 일제시대때 해수구제로 한반도.. 2023. 6. 5. 디즈니가 정치적 올바름을 선택하고, 한국기업이 정치적 올바름 안 하는 이유 디즈니 인어공주가 완전히 흥행에 실패했다. 전세계 여론이 좋지 않다. 대부분의 이유는 디즈니가 PC주의를 너무 밀고있다는 것이다. 디즈니가 PC에 집착하는 이유 디즈니는 초기에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PC를 도입했다. 백인중심에서 조금씩 사회가 변화하는데 이를 맞춰가야 돈을 벌 것 아닌가. 다양한 고객층을 만족시키기 위해 흑인, 동양인, 여성, 장애인, 동물을 꽉꽉 넣었고 초기의 이러한 시도는 성공으로 다가왔다. 겨울왕국과 알라딘만 하더라도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그 후의 뮬란도 코로나를 감안하면 괜찮은 성과를 거뒀다. 기존의 백인, 서양문화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디즈니 포트폴리오를 다채롭게 만들고, 기존 팬들에게 새로운 자극을 준다. 결국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도입했는데 돈까.. 2023. 5. 31.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과 구글 검색 알고리즘 한국은 유일하게 구글이 1등을 못 먹은 시장이다. 구글이 금지돼서 VPN으로 접속하는 중국에서도 구글이 1위인데, 한국은 네이버가 꽉 잡고 있다. 근데 이걸 자랑스러워 해야 하는 일인가? 아니면 한국인이 세계표준에 완전 어긋난 것일까? 딱히 한국인이 세계표준에서 어긋난 것 같지는 않다. 문서검색은 네이버에서 구글로 대세가 넘어간지 오래됐다. 학교나 직장에서 필요한 자료를 구글에서 찾는게 기본적인 상식이 된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왜 발생할까? 도대체 구글이 네이버보다 무슨 점이 뛰어난 것일까? C-rank기반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 View탭은 인플루언서 위주다. 네이버는 검색 엔진과 UI/UX를 개편했는데, C-랭크란 것을 도입했다. 뭐 D.I.A니 문서의 집중도, 연쇄 등등을 본다는데 제일 중요한 것 .. 2023. 5. 20. 정권 바뀌면 공기업 사장이 바뀌는 이유 - 엽관제 엽관제, 엽관주의라는 말이 있다. 선거에서 이긴 정당이 충성도와 기여도를 기반으로 공직자를 임명하는 것이다. 초기 미국이 유독 심했으나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대다수가 일부 도입하고 있는 제도이다. 선거에서 이긴 정당이 자신들의 국정 운영 방향과 동일한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을 장, 차관, 공기업 사장 자리에 임명하는게 나쁜 건 아니지 않은가. 그러라고 국민들이 뽑아준 것인데 말이다. 그 말은 정권이 바뀌면 내려와야 한다는 뜻이다. 장, 차관은 당연히 대선 이후 바로 임명되며 바뀌니 큰 이슈가 없지만 공기업 사장 자리가 문제다. 한국에서 공기업 사장 자리란 정치의 산물이다. 어차피 예산따오고 정부의 지시사항을 받아오고, 기관의 의견을 담당부서에 올리기 때문에 집권 정당과 인연이 있는 사람이 맡아도 돌아갈 수 .. 2023. 5. 20.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